본문 바로가기
IT/IT 잡지식

네이버 클라우드 서버 무료로 이용하기 - Micro Server

by 큰공 2021. 10. 2.
728x90
반응형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큰공입니다.

 이번에 소개드릴 내용은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 NAVER CLOUD PLATFORM ) 을 이용한 나만의 클라우드 서버 만들기 입니다.

 네이버에서 1년 무료로 제공하는 Micro Server 라는 녀석이 있어서 해당 Server 를 어떻게 구축하는지 한 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왜 필요한가?

 왜 필요한가? 를 먼저 말씀드리기 전에, NAVER / 카카오 등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버" 가 필요한데요. 과연 이 서버가 어디에 있을까요? Naver / 카카오 본사에 있을까요??

 

 대형 서버들을 모아두는 곳은 IDC 라고 하고, IDC에는 서버가 엄~~청 많은데요, 이와 같은 서버를 더 원할하고 방대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서버를 묶어 주는것을 "클라우드 서버" 라고 이해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그럼 개인은 왜 이게 필요할까요? 웹페이지 서버를 제공하기 위해서? FTP 로 원할한 대용량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서?

제 블로그를 보시다보면, 파이썬으로 여러가지 자동화 서비스를 기획(?) 한 것이 보이실 겁니다.

 

 개인 PC로 이와 같은 작업이 가능하기는 하나, 자동화 서비스가 24시간 내내 돌아가는데, 이를 물리적으로 내 개인 PC를 사용하지 않고 남의 서버에서 하고 싶어서 해당 클라우드 서버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서버

 클라우드 서버 중에 가장 유명한 것은 아무래도 "아마존" 입니다. 아마존은 더이상 쇼핑몰이 아니라, IT 기업입니다.

 이에 질 수 없다고 생각한 NAVER는 이와 유사한 서비스를 만들었습니다. 

 

 이름하야, NCLOUD! , 일반적으로 네이버 클라우드 하면 예전에는 구글 드라이브와 같은 개인이 사용하는 데이터 저장소를 얘기하는 것이였는데, 기존 네이버 클라우드는 "네이버 MY BOX" 로 이름을 변경하였고, 클라우드 서버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으로 이름을 만들었습니다. 

 

https://www.ncloud.com/

 

NAVER CLOUD PLATFORM

cloud computing services for corporations, IaaS, PaaS, SaaS, with Global region and Security Technology Certification

www.ncloud.com

 

절차

 절차는 크게 

 1)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회원가입
 2) 결재 수단 등록
 3) 서버 선택 ( Micro Server )
 4) 서버 생성
 - (공인 IP 설정)
 5) 포트 포워드 설정
 6) 접속

 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공인 IP 설정은 4032원의 비용이 드는 상황으로 여기서는 살짝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회원가입

 네이버 ID 는 없는 사람은 없겠죠? 네이버 연동으로 클릭 몇번으로 가입이 가능합니다.

 

잠깐 구경해 봅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할인 크레딧을 선택하니, 두둥 1년간 무료로 사용가능한 Micro Server의 설명이 보이는 군요.

 과감히 이용신청하기를 눌러봅니다.

 

결재 수단 등록하기

아니!! 결재수단을 등록하지 않으면, 상품 이용이 안된답니다. 흐규규

 

 Micro Server의 경우 1년간 공짜이지만, 1년 이후에는 위의 결재수단으로 바로 결재가 되어버립니다. 1년후에 까먹고 취소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겠습니다.

 

여러가지 개인정보 카드정보등을 입력 후 결제 수단 등록을 마무리 합니다.

 

 

서버 선택 ( Micro Server )

 결제 수단을 등록했으면 만들 서버를 골라야 합니다.

 

 Micro 서버의 원래 가격은 13,000 원입니다. PC 하루 종일 켜두면 전기세가 13,000 원 더 나갈까 싶긴합니다만, 일단 1년간 무료라고 하니 신청해 봅니다.

 

 

 

서버는 HDD 타입에, 50G, 메모리 1G 입니다. 이런 똥컴

 

 

추후 접속을 위한 인증키 생성입니다. 인증키는 저장해두었다가 밑에서 접속할때 필요합니다.

 

보안을 위해서 ACG ( Access Control Group ) 을 설정합니다. 그냥 기본을 누르면 됩니다.

OS 는 우분투 18.04를 선택했고, 위와 같이 차근차근하면 서버가 생성이 됩니다.

 

 

생성에 약간의 시간이 소요 되네요.

 

 

공인 IP 설정

 서버에 용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외부로 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해서는 공인 IP 설정이 필요합니다. 일단 저 같은 경우에는 필요가 없다고 생각되어 패스 했습니다. ( 비용이 월 4032원... ) 

 

 

 

포트 포워딩 설정

 다음은 포트 포워딩 설정을 해야 합니다. 공인 IP 가 없는 경우네느 서버 접속용 공인 IP 를 통해서 접속을 해야하는데, 서버 접속용 공인 IP는 여러 내부 서버를 가지고 있으므로, 각 Port 별로 분기를 해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하는 22, 3389 포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없으며, 신규로 만든 외부 포트를 통해서 마치 22 포트를 사용하듯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저는 22번 포트를 외부 포트 5000 으로 설정하였습니다. 공인 IP 를 설정하지 않으면 3389 포트는 포트포워딩이 안되네요. 22만 일단 써야 겠습니다. 

 

접속하기

 접속하기에 앞서서 관리자 비밀번호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위에서 저장한 인증키를 가지고 와서 넣습니다.

 

짜잔, 관리자 비밀번호가 보이는군요. 해당 ID / 비번으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사용하고 있는 XShell 으로 접속용 공인 아이피, 외부 포트 5000 을 입력후 접속이 완료된 모습입니다.

 

맺으며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하여 1년 무료 서버 (Micro Server) 메모리 1G / HDD 50GB 를 생성 및 접속 해보았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쓸지 기대가 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